티스토리 뷰

반응형




칼리리눅스(Attacker)와 윈도우(Victim) 를 Virtual Box를 이용하여 가상머신에 설치를 완료한 이후 한글패치를 통해 사용성을 높여놓았으니 이제 각 OS간 네트워크 연결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항상 이 부분은 어렵습니다. 특히 개인적으로 네트워크는 전문분야가 아니고 Virtual Box에서 이야기 하는 용어 등에 대해 정확히 이해를 하지 못해 매번 고생스럽게 진행하고 있어 이번에 정리를 해보기 위해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역시나 이번에도 상당히 고전을 면치못했는데, 특히 버그인지 무엇때문인지 윈도우의 어뎁터 인식문제로 인해 꽤 오랜시간을 헤딩해버렸네요.


※ 해당 내용은 각 버전 및 OS종류 및 버전 등에 의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니 참고만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01. 가상머신 네트워크 구성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해 각 OS별로 하나의 어댑터를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여기서 윈도우를 "어댑터1"로 설정해 줍니다.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는데 윈도우를 어댑터2로 선택하니 윈도우 내 네트워크가 설정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Kali를 "어댑터2"로 설정합니다.


각각 어댑터를 선택하고 연결방법은 "브릿지 어댑터"를 선택해 줍니다.


1. Windows (Victim)     => 어댑터 1 사용 / 브릿지 어댑터 연결 선택

2. Kali Linux ( Attacker) => 어댑터 2 사용 / 브릿지 어댑터 연결 선택






0. 네트워크 연결 확인


네트워크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윈도우에서 Ping에 대해 방화벽을 오픈해주었습니다. (참고 사이트)

Ping이 성공적으로 양쪽 모두 전송되는 것을 확인하고 간단히 Kali에서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NMAP을 사용하여 윈도우에 특정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해보았습니다.


22번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

# /usr/bin/nmap -sT -p 22 [Victim IP]







이제 당장 생각나는 환경구축에 필요한 내용은 모두 완료가 된 것 같네요.

앞으로 Kali를 통해 다양한 해킹툴을 실험하며 스터디를 진행하면 될 듯 합니다.






Fin







네트워크 설정 참고 사이트 : https://blog.naver.com/wideeyed/221087773726

방화벽 설정 참고 사이트 : http://blog.naver.com/wideeyed/220960764870


반응형
댓글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